차례 유래, 뜻
차례는 "차를 조상께 올려 대접하는 예" 라는 의미에서 유래 한 단어입니다. 때문에 오래 전에는 지금에 비하여 그 상차림이 훨씬 더 간소했는데요. 설날에는 집안 어른들께 세배를 드리기 전 조상들께 세배를 드리면서 차를 올리는 정도의 상이였고, 추석에는 송편을 빚어 차와 함께 올리는 정도의 상을 차렸다고 합니다.
현대에 와서는 차례상이 제사상과 큰 차이가 없이 발전하여 밥, 탕, 전과 함께 각종 과일과 육류, 생선이 올라가는 차례상차림이 나오게 되었는데요. 중국의 가례를 비롯하여 전통 예서에는 차례라는 것이 없는 만큼, 그 형식은 집집마다 어느정도 차이가 있습니다.
전통 차례
차례의 유래를 찾아 보면 오래 전 중국 송나라의 가례에서 그 흔적을 확인 할 수 있는데요. 당시에는 집집마다 사당이 있었고, 그 곳에 조상의 위패를 모셔 놓으며 정월 초하루, 동지, 매월 초하루, 매월 보름에 참배를 올렸습니다. 그 횟수가 많고 잦은 만큼 매번 제사상을 차리지 않고 찻잔을 차려 차를 올렸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다만 중국에서는 일상적으로 차를 마시고 손님을 대접 할 때에도 차를 내 왔지만, 한국에서는 차를 그리 일상적으로 마시지 않았고 손님이 오셨을 때에도 간단한 안주상차림과 함께 술상을 내 오는 차이가 있었는데요. 그러한 차이가 반영되어 차례를 지낼 때에도 술잔을 올린 것으로 보입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집집마다 있던 사당이 없어지고 사당에 올리던 차례도 없어졌지만, 차례를 올리는 풍습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이는 한국 사회 전반을 지배하는 유교사상과 효 사상에서 그 근거를 찾을 수 있는데요. 설, 추석 등 명절에 어른들께 인사를 올리는 것이 당연시 되는 만큼 조상께도 인사를 올려야 하지 않겠느냐는 효 사상이 지금까지 차례를 이어오게 만든 정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